본문 바로가기

2025년 3월 1일부터 바뀌는 항공기 기내 보조배터리/전자담배 반입 규정 총정리

asnormal 2025. 3. 10.

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변경사항

배터리 종류별 반입 방법

  • 알카리인 종류: 위탁 수화물로 맡길 수 있음
  • 리튬배터리: 반드시 기내 반입 (소지하여 탑승)

용량별 반입 제한

  • 소형 배터리(100Wh 이하): 반입 가능 (스마트폰용 등)
  • 중형 배터리(100~160Wh): 최대 2개까지만 반입 가능 (노트북, 태블릿용)
  • 대용량 배터리(160Wh 초과): 반입 불가 (캠핑용 등)

100Wh 이하 배터리가 6개 이상일 경우

  1. 발권카운터에서 승인 받기
  2. 단락방지 조치 후 스티커 부착
  3. 승인 스티커 미부착 시 반입 불가

보관 방법

  • 반드시 몸에 지니거나 좌석 앞주머니에 보관
  • ⚠️ 기내 선반 보관 금지

 

 

전자담배 반입 규정

  • 배터리: 100Wh 이하만 기내 반입 가능
  • 액상: 100ml 이하만 반입 가능
  • 보관 방법: 액상은 반드시 투명한 지퍼백에 넣어서 보관

배터리 용량(Wh) 계산 방법

mAh × 전압(V) ÷ 1000 = Wh

예시 계산

  • 20,000mAh × 3.7V ÷ 1000 = 74Wh → 최대 5개까지 반입 가능
  • 30,000mAh × 3.7V ÷ 1000 = 111Wh → 항공사 승인 시 2개까지 가능
  • 50,000mAh × 3.7V ÷ 1000 = 185Wh → 반입 불가!

셀프체크인 5단계 절차

  1. 항공권 예약 시, 문자나 이메일로 받은 반입 규정 안내 확인
  2. 출발 24시간 전, 항공사에서 보낸 문자 재확인
  3. 공항 도착 후 키오스크에서 규정 재확인 (초과 배터리 발견 시 즉시 신고)
  4. 탑승 게이트에서 승무원의 최종 확인
  5. 탑승 후 배터리는 직접 소지하거나 좌석 앞주머니에 보관

💡 주의사항: 리튬배터리는 화재 위험이 있어 항공 안전에 중요합니다. 규정을 꼭 지켜 안전한 여행이 되도록 합시다!

정보 출처: 대한민국 정책브리핑(www.korea.kr)

댓글